고령화사회가 되면서 65세 이상 노인분들을 위한 노인복지 혜택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집안에 노부모님이 계신거나 65세 이상 노령인 분들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혜택에 대해 확인하셔서 꼭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알아볼 2021년 노인복지 혜택은 각종 할인 및 세금 감면, 의료 지원등에 대해 국가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간략하게 나열하였습니다. 인터넷 사용이 적은 연령층이다 보니, 이런 혜택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제외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변에 노인분들이 계시다면 안내를 부탁드립니다.
1. 각종 세금 감면혜택
1.1. 소득공제
- 만65세 이상의 부모님을 부양하고 있다면 1인당 100만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70세 이상의 부모님을 부양하고 있다면 1인당 150만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2. 상속세 면제
- 만60세 이상의 분들의 경우 1인당 3천만원의 상속세 면제가 가능합니다.
1.3. 양도세 면제
- 만65세 이상의 부모님과 세대를 합친경우 자녀를 독립세대로 간주하여 기존 주택을 팔지 않아도 2주택자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2년 내 2주택 중 1주택을 팔게 되면 양도소득세 또한 면제 받을 수 있습니다.
1.4. 비과세 혜택
- 만 60세 이상 : 1인당 최대3천만원까지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 만65세 이상 : 1인당 최대6천만원까지 세금우대 종합저축 10%에 대해 분리과세가 가능하고 주민세가 면제됩니다.
2. 각종 할인 혜택
2.1. 통신비 할인
- 기초연금 수령자의 경우 월 통신비가 2만2천원 이상인 경우 매월 1만1천원의 요금이 할인 되고 월 통신비 2만2천원 이하일 경우 매월 통신비의 50%가 할인 적용됩니다.
2.2. 교통비 할인
- 지하철 : 무료
- 무궁화호, 새마을호, SRT, KTX : 30% 할인
- 항공권 : 국내선 10%, 국내 여객선 20% 할인
2.3. 무료입장
- 국립공원, 박물관, 공연, 국공립미술관, 왕릉, 고궁등 : 무료
- 정부 또는 지자체 운영 공연 : 50%할인
2.4. 영화 관람 할인
- 만65세 이상 : 영화 관람료 5,000원 할인
3. 의료지원 혜택
3.1. 치과 진료 지원
- 임플란트 : 1인당 최대 2개 까지 진료비의 70%할인
- 틀니 : 7년에 1회 진료비의 70% 할인
3.2. 외례진료비 지원
- 총 진료비 15,000원 이하 : 본인부담금 1,500원
- 15,000원 이상 : 본인부담금 10%
- 총진료비 20,000원 이상, 25,000원 이하 : 본인부담금 20%
- 25,000원 이상 : 본인부담금 30%
3.3. 치매검진
- 만60세 이상의 경우 치매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만65세 이상이시면 2년에 한번 인지지능장애에 대한 무료검진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3.4. 건강검진
- 만60세 이상의 경우 무료로 건강검진 외 골밀도 및 연령에 맞는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3.5. 노인돌봄서비스
- 건강 및 소득에 따라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6. 무릎관절 검사 및 수술비 지원
- 무릎관절 검사를 위해 MRI및 초음파 검사비용이 지원되고, 수술이 필요한 경우 최대 240만원까지 수술비 지원이 가능합니다.
4. 부동산 혜택
- 만65세 이상 양가 부모님 중 한 분 이상을 3년 이상 부양한 무주택자의 경우 공공임대주택 중에 85㎡ 이하의 주택 10% 범위내에서 우선 공급합니다.
5. 기초연금 혜택
- 소득하위 70%에 해당하는 만65세 이상인 분들은 매월 30만원의 기초연금을 지원합니다.
선정기준액은 소득인정액이 해당금액 이하인 경우 기초연금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소득인정액이란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 선정기준액 : 단독가구 - 1,690,000원 / 부부가구 - 2,704,000원
- 신청기간 : 만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이 가능
'생활 정보 알아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견 책임보험 미가입 과태료 및 보험료는? (0) | 2021.05.07 |
---|---|
당뇨병이란? 초기증상 및 발병 원인 알아보기 (0) | 2021.05.05 |
안전속도5030 정책 시행 내용 및 과태료 범칙금 안내 (0) | 2021.04.23 |
아파트청약 무주택자 기준 및 무주택 기간 요약 정리 (0) | 2021.04.16 |
학교폭력 실태조사, 지역별 교육청 설문참여 방법 (0) | 2021.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