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IT 인터넷 튜토리얼

구글 크롬 자동완성 끄기, 저장된 인터넷 검색 기록 삭제 방법

by ┃ 2021. 6. 24.

크롬 브라우저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자동완성기능이 있습니다. 회원가입이나 결제시 저장되어 있던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등이 자동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개인정보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위한 유용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개인 컴퓨터가 아닌 학교나 PC방등의 공용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다면 개인정보유출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공용컴퓨터에서 자동완성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로 이용할 경우 다른 사용자에게 자신의 개인정보가 노출되게 됩니다. 따라서 공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크롬 자동완성기능을 반드시 끄고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은 크롬 자동완성 끄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저장된 인터넷 검색 기록 삭제

 

- 크롬 자동완성 끄기를 통해 기능을 비활성화해도 데이터가 이미 크롬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저장된 인터넷 기록 삭제를 실행 해야 합니다. 

> 크롬을 실행합니다.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세로 점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 [설정]페이지 왼쪽 메뉴에서 [개인정보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 방문기록, 쿠키, 캐시등을 삭제할 수 있는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클릭합니다. 



> [고급]탭을 클릭하고, 기간을 [전체기간]으로 설정합니다. 

 


> [비밀번호 및 기타 로그인 데이터]와 [양식 데이터 자동 완성]에 체크하고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때, 인터넷 사용기록 및 모든 쿠키, 캐시, 다운로드 기록등을 체크 하시어 함께 삭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비밀번호 및 기타 로그인 데이터와 양식 데이터 자동 완성을 삭제하더라도 검색시 자동완성 정보가 그대로 남기 때문입니다. 


2. 크롬 저장된 비밀번호 기록 삭제 및 자동완성 끄기

 

> 이번에는 비밀번호, 결제수단, 주소등의 자동완성 기능 끄기를 하겠습니다. 다시 크롬을 실행하고 [설정]에서 왼쪽 메뉴의 [자동완성]을 클릭합니다. 



> [자동완성] > [비밀번호], [결제수단], [주소 및 기타]를 클릭하여 각각 자동완성기능을 해제해 주어야 합니다. 



> 먼저 [비밀번호]입니다.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하여 [비밀번호 저장 여부 확인]과 [자동로그인]을 비활성화 합니다.

 

자동로그인은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게 되면 로그인할 때마다 확인 요청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그리고 하단에 [저장된 비밀번호]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있다면 모두 제거를 해줍니다. 이 과정을 해주면 자신의 비밀번호가 저장 또는 사용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다음은 [결제수단]입니다. [결제 수단 저장 및 자동 입력] 및 [사이트에서 저장된 결제 수단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허용]을 모두 비활성으로 합니다. 



> [주소 및 기타]에서는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배송지 주소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주소 저장 및 자동 입력]을 비활성화 해줍니다.  

 

 


3. 검색어, URL 자동완성 끄기

 

- 마지막으로 검색어와 URL까지 자동완성기능을 끄게 되면 크롬에서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하지 않게 됩니다. 

> 크롬의 [설정]에서 왼쪽 메뉴에 [나와Google의 관계]를 클릭합니다. 

 



> 오른쪽의 [나와Google의 관계]에서 [동기화 및 Google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하단으로 조금 내려오면 [다른 Google 서비스]항목이 보입니다. 여기에서 [검색어 및 URL 자동 완성]을 비활성화 해줍니다.

 

이기능을 끄게 되면 검색창 검색어 및 일부 쿠키를 기본 검색엔진에 전송되지 않게 됩니다. 


여기까지 구글 크롬 자동완성 끄기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자동완성기능은 자신의 개인 컴퓨터에서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긴 하지만 보안이 취약한 컴퓨터에서는 반드시 기능을 끄고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